지난 9월 30일 국토부에서 고시한 제2차 도로관리계획 입니다.
BIM 관련 핵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.
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해주세요
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국토부 링크로 이동합니다
주요 내용
계획의 개요
□ 수립배경
ㅇ제1차 고속 및 일반국도 등 도로관리계획(2016~2020)이 2020년에 종료됨에 따라, 제2차 도로관리계획(2021~2025, 5개년) 마련 필요
- 상위계획인 제5차 국토종합계획(2020~2040), 제2차 국가기간교통망계획(2021~2040),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(2021~2030) 수립에 따른 세부적인 실행계획 마련도 필요
□ 제2차 도로관리계획의 개요
ㅇ(법적근거) 「도로법」 제6조(도로건설‧관리계획의 수립 등)
ㅇ(시간/공간적 범위) 2021~2025년 / 전국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
도로관리 투자 비용 증가
□ (총 보수비) 2016년 2.9조원에서 2020년 4.1조원으로 41.4% 증가
* 고속, 일반국도, 특·광역시도, 지방도, 시·군·구도(도로 및 보수현황, 국토부)
ㅇ도로관리 국비는 2016년 1.52조원에서 2020년 2.18조원으로 43.0% 증가
ㅇ도로등급별 보수비는 2020년말 기준 일반국도가 전체의 43.5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, 고속국도는 17.2%
ㅇ연장(km)당 보수비는 고속국도 1.3억원, 일반국도 1.1억원, 지방도 0.2억원 수준
목표 및 기본 방향
□ (노후화 심화) 도로시설물 노후화율(공용년수 30년 이상, ‘19.9 기준)은 3~15% 수준이며, 도로교량의 노후화 진행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남
* 도로 교량은 10년 내 노후화율이 46%에 달할 것으로 전망
□ (유지관리비용 증가) 노후인프라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및 유지관리 비용 증가 예상
* (‘16) 2.9조 → (’17) 3.3조 → (’18) 3.4조 → (’19) 3.8조 → (’20) 4.1조
☞ 도로자산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과 이를 활용한 중장기적 관점의 노후시설 관리 실행 필요
추진 방향
□ 4차 산업혁명과 첨단 기술의 활용
ㅇ (미래형 도로인프라 관리 요구 증대) ICBMS(IoT, Cloud, Big Data, Mobile, Security) 및 AI 등을 활용한 미래형 도로인프라 관리요구 증대
ㅇ (인공지능 및 초연결 기술 확대) 국토교통기술 분야의 새로운 가치 창출과 신성장동력 발굴 대책으로 도로시설물과 관련한 기술개발 계획 제시
* 센서기반 진단기술, 비파괴방식 점검 등의 기술개발 필요성이 강조됨
☞ 모니터링 및 진단, 구조재료 강화, 첨단기술(인프라 점검로봇 등)활용 등을 통한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성능향상 필요
□ 스마트진단키트 등을 통한 교량관리시스템 강화
ㅇ 교량관리시스템(BMS) 축적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교량 손상에 관한 스마트진단키트를 개발해 점검 신뢰성 강화
* 3D 모델 기반 BMS用 스마트 진단키트 개발 및 시스템 개선(‘20~’25년)
https://www.koryosoft.co.kr/application.html#bim_fms
KaceBIM 응용시스템 소개
고려소프트웨어는 스마트 건설 실현을 위한 IT 혁신기술을 리드합니다
www.koryosoft.co.kr
국토부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 배포_(설계자편) (0) | 2022.07.29 |
---|---|
국토부 발표내용「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 S-Construction 2030」 (0) | 2022.07.25 |
국토교통산업의 미래 전략산업화...새 정부의 키워드 (1) | 2022.05.13 |
공공 발주기관들의 BIM 납품기준 재정비 착수 (1) | 2021.09.28 |